질문:
아부다비에 법인을 설립 할려고 하는 무엇을 준비 해야 하나요?
답변:
질문: FIDIC 자료를 어떻게 구할 수 있나요?
답변:
FIDIC판권 소유로 인하여, 우리 협회를 포함한 모든 단체와 협회 역시 공식적으로
배포를 할 경우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국내 모두에게 해당하는 것으로 모든 협회나 단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아무도 법적(판권)으로 복사해서 줄 수 없습니다.
때문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FIDIC을 직접 fidic website : www.fidic.org에서 구매 하는 방법
수고하십시요,,,
질문: Outlook Express에서 본문이나 첨부파일이 활성화 되지않을 경우에 어떻게 하나요?
답변:
Outlook Express 사용중 갑자기 첨부된 파일이 활성화되지 않는경우에는
보안수준 설정이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수 있으며
특히, 동영상이나 플래쉬가 본문에 있을 경우에 제대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럴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항목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Outlook Express] -> [도구] -> [옵션] -> [보안] 항목에서 ->
"인터넷영역(보안수준은 낮고 , 기능성 높음) " 을 체크하시고
"HTML 전자 메일의 이미지 및 다른 외부 컨텐트를 차단" 체크를 해제하시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질문: 첨부파일이 다운로드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답변: 첨부파일명에 한글이 들어있거나 공백이 들어간 경우, 첨부파일을 열때 문제가 있을수 있습니다.
이때는, Internet Explorer 상단의 메뉴에서
도구(T)-인터넷 옵션(O)-고급-URL을 항상 UTF-8로 보냄(다시 시작해야 함) 항목을 선택해제
하시면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질문: 당사는 최근 국내건설시장 불황으로 해외건설시장 개척을 적극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해외건설 수행에 따른 각종 신고, 보고제도에 대하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최근 언론 보도를 보면, 해외건설이 중동지역을 중심으로한 플랜트 위주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에 지역별 시장점유율과 공종별 점유율을 알고 싶습니다.
구분 |
합계 |
1965~1980 |
1981~1990 |
1991~1997 |
1998~2005 |
계 |
1962 |
302 |
631 |
517 |
512 |
중동 |
1151 |
285 |
543 |
81 |
242 |
아시아 |
626 |
14 |
76 |
338 |
198 |
미주 |
81 |
2 |
6 |
50 |
23 |
아프리카 |
53 |
1 |
6 |
9 |
37 |
유럽 |
51 |
- |
0.2 |
39 |
12 |
시장분포 |
중동위축 |
아시아 확대 |
아시아주력 |
시장다변화 |
▣ 공종별 점유율
공종별로는 토목ㆍ건축 위주에서 플랜트 중심으로 전환
(단위 : 억불)
구분 |
합계 |
1965~1980 |
1981~1990 |
1991~1997 |
1998~2005 |
계 |
1962 |
302 |
631 |
517 |
512 |
토목 |
580 |
106 |
257 |
133 |
84 |
건축 |
680 |
140 |
262 |
198 |
80 |
플랜트 |
613 |
36 |
83 |
170 |
324 |
기타 |
89 |
20 |
29 |
16 |
24 |
공종분포 |
토목ㆍ건축 중심(81.5%) |
토목ㆍ건축 중심(82.3%) |
플랜트 신장(32.9%) |
플랜트중심(63.3%) |
질문: 브라질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PPP(Private-Public Partnership) 사업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이 사업이 정확히 어떠한 것인지 소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현재 우리기업의 해외건설 수주가 중동일변도로 편중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이에 신시장 개척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데 1995년 이후 우리기업의 신시장 개척 현황을 알고 싶습니다.
연도 |
국가 |
업체 |
공사명 |
공사금액 |
발주처 |
총계 |
24개국 |
14개사 |
24건 |
1,513,396 |
23개 발주처 |
1995 |
영국 |
삼성물산 |
영국전자공장 신축공사 |
44,508 |
삼성전자 |
|
루마니아 |
대우건설 |
자동차 조립공장 1단계 건설공사 |
495,670 |
RODAE S.A. |
|
프랑스 |
대우ENG |
DOSA CPT 공장건설공사 |
11,000 |
DAEWOO-ORION S.A. |
|
몽골 |
현대건설 |
발전소 개보수공사 감리 |
1,542 |
에너지광물성 |
|
탄자니아 |
지에스네오텍 |
다르 에스살람지역 2차 통신공사 |
7,238 |
탄자니아통신 |
소계 |
5개국 |
5개사 |
5건 |
559,958 |
5개 발주처 |
1997 |
폴란드 |
대우건설 |
바르샤바 대우센터 건설공사 |
104,275 |
DAE-POL |
|
이디오피아 |
경남기업 |
아디스아바바 공항 1단계 공사 |
29,977 |
민간항공청 |
|
튀니지 |
현대건설 |
튀니스 스포츠센터 건립공사 |
138,175 |
장비주택성 |
|
자마이카 |
보성 |
북부연안 고속도로공사 |
24,998 |
건설부 |
|
콜롬비아 |
SK건설 |
까르따헤나 정유공장 증설공사 |
20,446 |
ECOPETROL |
소계 |
5개국 |
5개사 |
5건 |
317,871 |
5개 발주처 |
1998 |
모로코 |
대우건설 |
대우전자/자동차 공장 건설공사 |
350,000 |
대우전자 |
|
마카오 |
현대건설 |
타워 유흥장 공사 |
49,311 |
Sociedade de Turismo Diversoes de Macao |
|
투르크멘 |
현대건설 |
투르크멘바쉬 정유공사 개보수 공사 |
99,555 |
Turkmenneftegas State Trade Co. |
|
키르기스탄 |
삼성물산 |
비시켁-오시간 도로개보수 공사 |
51,818 |
교통체신부 |
|
불가리아 |
현대건설 |
소피아 장애인복지센터 |
390 |
불가리아 한국대사관 |
소계 |
5개국 |
3개사 |
5건 |
551,074 |
5개 발주처 |
1999 |
터키 |
SK건설 |
정유공장 복구공사 용역사업 |
250 |
Robertso and Co. SA |
2001 |
앙골라 |
공간종합건축 |
Sonagol 본사 및 주차장 설계용역 |
4,216 |
국영석유공사 |
2002 |
아프간 |
엄앤드이종합건축 |
AVICENA 흉부 병원 및 응급병원 개보수, 신축병원 설계 및 감리 |
134 |
보건부 |
|
동티모르 |
쌍용건설 |
독립기념관 건축공사 |
976 |
KOICA |
소계 |
2개국 |
2개사 |
2건 |
1,110 |
2개 발주처 |
2003 |
볼리비아 |
벽산ENG |
Pailas Bridge 건설을 위한 기술, 감리 용역 |
2,763 |
도로청 |
2004 |
적도기니아 |
삼성물산 |
몽고모시 상수공급설비공사 |
13,941 |
적도기니아 |
|
이스라엘 |
한국전력기술 |
루텐버그 발전소 건설 자문 용역 |
330 |
국영전력공사 |
소계 |
2개국 |
3개사 |
2건 |
14,271 |
2개 발주처 |
2005 |
슬로바키아 |
엠코 |
기아자동차 슬로바키아 30만대 생산 공장 |
61,821 |
기아자동차 |
|
페루 |
엄앤드이종합건축 |
파차쿠텍 보건소 건립사업 |
62 |
KOICA |
소계 |
2개국 |
2개사 |
2건 |
61,883 |
2개 발주처 |
답변: 통합리스크매니지먼트 시스템(Fully Integrated Risk Management System, FIRMS)은 '03년부터 2년간 해외건설협회와 연세대학교 건설경영 · 정보연구실, 아이비맥스가 공동으로 연구한 사업으로 우리업체들이 해외 프로젝트 수행시 발생할 수 있는 수백 가지의 리스크 요인을 사전에 분석하여 리스크를 예방하고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18개 건설기업이 10년 동안 수행한 126건의 해외공사 내용을 바탕으로 타당성분석·견적·입찰부터 시공·준공 단계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대응책을 만들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FIRMS는 '05. 9. 22일부로 정식 오픈 되어 현재 해외건설종합정보시스템의 리스크관리 메뉴를 통해 개인 및 기업회원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질문: 사우디에서 공사 수행시 의무적으로 에이전트를 고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현지법인을 설립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위 사항이 필수라면 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부탁드립니다.
질문: 중국 관급공사에 참여할 계획입니다.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과실이 생겼을 경우 송금이 가능한지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질문: 해외건설현장에 원자재 보내는 방법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원자재를 보내기 위한 절차와 신고사항을 좀 알고 싶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 해외공사 현장이 하나의 별도법인 형태가 되거나 수입대행업체를 선정
2. 동 법인이나 대행업체가 현지에서 수입허가를 얻어 국내에 물품구입 Order 발송
3. Master L/C를 Open하여 국내에 Telex로 접수(Order 받은 국내의 기자재 조달업체와 가격 Nego.후, 수입국 은행이 지급보증한 L/C를 국내은행에 Telex로 접수)
4. 주문을 받은 국내의 기자재 조달업체는 은행에서 Master L/C Open을 확인
5. Master L/C Open을 확인한 국내의 기자재 조달업체는 수출관련 서류 작성
6. 수출서류 작성이 완료된 후 물품 선적
7. 물품 선적후 국내은행에 기자재 대금을 지불요청하는 순으로 진행이 됩니다.
그러나 무환반출제도를 이용할 경우 해외공사현장에서 Master L/C Open에 소요되는 기간이나 비용의 절감은 물론 국내의 기자재 조달업체가 Master L/C Open을 국내은행에서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절감되고 있다.
무환반출입 확인제도를 이용할 경우의 장단점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장점
-수출절차의 간소화(해외건설협회장의 반출입 확인으로 절차 간소화)
-기자재반출에 소요되는 기간 단축으로 원활한 공사수행
-L/C Open에 따른 수수료 부담 없음(외화 낭비 방지)
-제반입시 세제혜택(무환반출된 기자재의 2년이내 반입시 수입관세 면제)
2. 단점 : 기자재대금 수령 늦음(무환반출은 기자재 대금의 수령없이 기자재를 먼저 반출하였으나 이는 공사의 기성발생 또는 완료시 수출대금의 수령이나 정산이 되어야만 가능하여 국내의 기자재 조달업체에게 자금 부담이 발생)
무환반출제도에 대한 기타 의문사항이나 기자재 반출입 확인에 필요한 양식은 당 협회 홈페이지의 민원안내중 기자재반출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질문: '최근 5년간 외국에서 설계(감리)용역실적을 공동도급비율을 곱하여 1건당 용역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다.'
여기서 공동도급비율을 곱한다는 의미에 대해 질의 드립니다 예를 들어 A사(국내업체)와 B사(외국업체)간의 JV(3:7)이며, 용역비가 1억5천인경우를 들어서 질의 드리겠습니다. 규정은 2억 미만인 사업에 대해서 가중치20%가적용되며 건당0.5점이므로 0.2*0.5=0.1점이 가점이됩니다.
이때 공동도급비율에 따라 최종적으로 가점이 0.03점으로 인정되는지 알려주십시오. 아니면 금액으로 볼 때 국내사30%지분 4천5백만원의 금액은 2억 미만의 사업으로 가점이 0.1점으로 인정되는지 알려주십시오. 향후 당사에서 사업추진시 중요한 지표가 되므로 꼭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 중국 건설업종 관련 질문 드립니다. 현재 중국 건설업 형태는 종합과 전문, 그리고 노무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중 전문업체에 해당하는 업종이 무엇이 있는지를 알고 싶은데 어느 관련 법을 찾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노무 관련 업종도 찾아보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질문: 베트남 호치민 건설 노무자 임금과 건설장비 임대비에 대하여 문의 드립니다. 업무상으로 상기 제목과 같이 베트남 호치민에서 구할수 있는 건설 노무자의 임금과 건설장비 임대료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특히 아파트현장에서 요구하는 노동인력과 장비에 대한 정보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장비 |
기 종 |
CIF 가격 |
임대 |
Bull Dozer |
komasu D5 |
20,000/ |
5.5∼6.5/시간 |
Wheel Loader |
Sakai KD7610 |
10,000 |
13.3/시간 |
Excavator |
Komasu pw100 |
30,000/ |
13.3/시간 |
Backhoe Loader |
- |
- |
13.3/시간 |
Dump Truck |
- |
20,400/ |
700∼950/월 |
Vibrator Roller |
VV900D |
50,000 |
- |
Crusher Plant |
100㎥/ |
275,000 |
- |
Cargo Truck |
- |
20,000 |
700∼900/월 |
Conc' Mixer |
60㎥ |
96,000 |
방수처리 |
Asphalt Mixing Plant |
80 ton |
197,000 |
- |
호치민과 하노이 지역은 장비의 임대가 일부 가능하나, 소량의 단기 임대 시장 수준이며 200ton 규모의 대형 크레인은 1~2대 수준으로 매우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베트남에서의 대형 건설공사 수행을 위해서는 현지건설업체를 통해서 장비를 공급하거나 신규 투입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노동임금에 관련해서는 현재 외국업체가 참여중인 발전소 등의 Turn-Key 공사 경우 베트남 현지 시방 규정을 적용받고 있으므로 현지어의 번역, 규정 적용 및 발주처 승인 등을 위해서는 필히 현지 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한편 베트남 노동부는 자국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국 건설업체가 고용하는 현지 인원의 직책별 월평균 최저임금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습니다. 동법은 2000.10.21부터 발효되었는데 임금은 지불일 당시 베트남 국영은행(State Bank of Vietnam)이 고시하는 환율을 적용하여 베트남 현지화(VND)로 지불되어야 합니다.
▣ 베트남 건설관련 직종별 임금
(단위: 달러)
직종별 |
경력 |
월 급여 |
수당, 복리 |
|
최저 |
최고 |
|||
사무직 |
- |
200 |
600 |
UN 노동법에 따름 |
현장 |
- |
250 |
650 |
|
기술직 |
- |
200 |
600 |
|
십장 |
- |
150 |
250 |
|
중기원 |
숙련 |
150 |
250 |
|
반숙련 |
120 |
230 |
||
정비사 |
숙련 |
120 |
200 |
|
반숙련 |
100 |
150 |
||
용접공 |
숙련 |
100 |
150 |
|
반숙련 |
100 |
120 |
||
운전수 |
숙련 |
150 |
250 |
|
반숙련 |
120 |
200 |
||
일반공 |
숙련 |
80 |
110 |
|
반숙련 |
60 |
100 |
질문: 해외공사 입찰 및 시공시 품질보증관련 질문입니다.
1. 입찰시 품질보증시스템 인증서가 요구되는지요. 요구되면 나라별로 어떻게 다른지요.
2. 인증서가 요구되지 않으면 품질계획서를 작성하여 입찰시 제출하면 되는지요.
3. 품질보증계획서와 인증서가 동시에 필요한건지요.
해외공사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답변: 해외공사의 입찰 절차는 대부분 PQ(Pre-Qualification)심사를 거쳐서 입찰에 참여할 업체를 선정한 후 입찰을 진행하고 Negotiation을 거쳐 낙찰자를 선정하게 됩니다.
발주처 입장에서 품질인증이나 보증시스템이 없는 시공업체에게 당해 프로젝트를 맡기고 싶지 않기 때문에 PQ심사시 업체가 제출한 품질인증서나 보증시스템을 검토하여 PQ를 통과한 업체에게만 입찰에 참여할 자격을 주게 됩니다.
국가에 따라서는 현지 건설업 면허 발급 및 입찰허용금액 등급설정시 ISO 9000/14000 등의 증명서 제출을 요구하기도 하며, 발주처에 따라서는 입찰서 부속서류로 해당 증명 제출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또한 낙찰이 되어 공사를 수행하더라도 당해 프로젝트에 대한 품질보증체계를 갖추도록 품질계획서의 제출을 요구하고 품질보증체계가 갖추어진 채 품질계획서와 같이 진행이 되는지 감독관이 검수를 하게 됩니다.
이상 간단하게나마 해외공사 입찰과 관련된 품질인증서 및 보증시스템에 대한 답변입니다.
질문: 토목설계회사의 해외지사설립에 관한 절차 및 자격요건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정부발주 사업 및 민자사업에 대하여 국내 기술자들이 인도네시아에 방문할 경우 CABLE이라는 것을 받아야 취업비자가 발급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반드시 CABLE을 받기위해서는 당사의 해외지사를 설립하여야 하는것인지 아니면 인니 당국의 제재를 받지않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바쁘시더라도 빠르고 명쾌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질문: 우리나라의 감리나 책임감리제도에 대응하는 제도가 해외에도 있을 것 같은데 제가 못 찾겠네요. 감리를 영어로 번역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관련사이트를 알고계시면 소개 부탁 합니다.
질문 : 저희는 전기공사업체입니다 최근 중국에서의 공사 제의를 받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전기 단종업체가 국내 종합 건설사를 배제하고 중국의 종합건설업체와 도급 계약을 맺을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만약 가능 하다면 여러가지 보완책이 있어야 할텐데요. 그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질문: 해외건설업면허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답변:
1)해외건설업면허 취득절차?
주무부서 : 건설교통부 해외건설팀 (Tel:02-2110-6291)
현행 해외건설업면허는 신고제입니다.
따라서, 해외건설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대통령이 정하는 영업의 종류별로 건설교통부장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해외건설촉진법 제6조)
해외건설업 신고는 당협회가 아닌 건설교통부(과천)에 직접 신고해야 하며 서류로서는,
"해외건설업신고서","사업자등록증사본","해당,국내건설관련면허증"을 첨부하여 제출하시면, 건설교통부에서 검토후 내부결재 과정을 득한후 일종의 면허증격인 "해외건설업신고필증"이 교부되는 것으로 신고절차는 종료됩니다, 추후에 상호,명칭, 대표자, 영업소재지들이 변경되었을 경우, "해외건설업변경사항신고서"를 건교부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해외건설업의 종류는, 종합,일반(토목,건축,토목건축),산업설비,조경,전문,전기,정보통신,환경오염방지시설,건설ENG,해외공사수주 및 개발업으로 분류됩니다.
2)해외건설진출방법
직접 진출하시는 경우와, 국내건설업체 및 외국건설업체와 공동 혹은 하청사로 진출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최초진출일 경우 단독 공사수주는 약간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전문건설업체의 경우 국내대형사의 하청으로 공사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경우, 계약서도 국문으로 작성되고 선급금보증서도 국내 전문건설공제조합을 이용합니다.
하청사의 입장에서는 계약관계가 원청사인 국내대형건설업체(해외발주처상대)까지만 한정되기 때문이죠. 각종 발주처관계 및 Contracting Officer, 계약관리(Coordination), 하청사의 공사수행에 필요한 각종 현지 인/허가 업무등은 원청사인 국내대형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해외건설업면허 취득전에 해외건설업체와 공사계약을 맺을 수 있는지?
말씀하신 해외건설업체가 한국업체인지, 아니면 외국업체인지 모르겠군요.
앞서 1)번과 마찬가지로, 해외공사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해외건설업을 신고한 후 해외건설업체와 공사계약을 맺을 수 있습니다.
해외건설업을 신고하지 않고 계약하거나 수행한 공사는 현행 대한민국법령상 해외건설공사로 인정하지 않으며, 각종보증서,자재반출등 공사수행에 필요한 업무시 해당기관에서 확인을 요구할 수 있으며, 해외건설촉진법과 함께 해외공사와 관련된 "외환거래법"."대외무역법"등의 유관법령에 저촉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공사를 수행하면서 해외건설촉진법상의 의무신고사항등을 이행하여야 합니다.
최근 기존에 해외건설업신고(과거,면허제/등록제)를 하지 않거나, 해외건설촉진법상의 각종 신고절차를 미이행한후, 국내공사참여시 실적을 인정받고자 당협회에 실적증명 발급을 신청하는 경우(현재 조달청 및 지자체,정부기관등에서 발주하는 관급공사 및 민간공사의 경우 해외실적의 경우 당협회가 발행한 각종 실적증명서 요구),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참조:당협회 홈페이지 "민원안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